6자회담 재개를 위한 주변국들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특히 북한의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UEP) 가동과 천안함ㆍ연평도 도발로 단절됐던 대화 분위기가 오는 19일 미ㆍ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전환점을 찾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와 관련, 정부는 남북대화가 6자회담으로 가기 위한 중요한 절차임을 강조했다.
정부 당국자는 4일 “정부는 6자회담 재개조건이 만들어지면 이를 남북대화 채널을 통해 북한에 전달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며 “미국과 중국, 일본, 러시아 등과도 이 같은 6자회담 재개 조건에 대체적인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고 있다”고 전했다. 앞으로 있을 남북대화에서 북한의 핵 문제가 중요 의제로 다뤄져야 한다는 김성환 외교통상부 장관의 발언 및 “북핵 폐기는 6자회담을 통해서 하지만, 남북이 또한 협상을 통해 핵 폐기하는 데 대한민국이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한다”는 최근 이명박 대통령의 발언과 맥을 같이하는 것이다.
이 당국자는 “다만 남북대화만이 유일한 조건 전달 통로라는 의미는 아니다”며 “중국이나 미국 등을 통해 북한에 메시지를 전달할 수도 있으며, 중요한 것은 일관된 내용”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이날 서울에 도착하는 스티븐 보즈워스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회동에서도 이 같은 점을 강조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 일각에서는 이 같은 우리 정부의 입장 표명과 보즈워스의 방한이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수순밟기로 분석했다. 리처드슨 뉴멕시코 주지사의 방북과 북한의 UEP 공개를 계기로 미국이 ‘전략적 인내’ 대신 ‘적극적 개입’으로 대북 정책을 수정할 것이라는 해석이 그 배경이다. 6자회담 재개를 주장하는 중국 정상과 만남을 통해 압박과 함께 대화 카드도 꺼내는 ‘투 트랙’ 전략을 본격적으로 구사할 수 있다는 게 외교가의 관측이다.
그러나 구체적인 6자회담 재개 시점에 대해서는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게 정부 내의 전반적인 분위기다. 김영선 외교부 대변인은 “키는 북한이 쥐고 있다”며 “6자회담이 열리기 위해서는 관련국 간 합의가 이뤄져야 하고 지금까지 논의 경과를 보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북한의 비핵화에 대한 진정성”이라고 강조했다.
한 외교 소식통은 “미국의 기류가 전략적 인내와 적극적 개입 중 선택을 해야 할 시점”이라며 “그러나 우방인 우리 정부에 대한 배려와 지금까지 북한의 태도 등을 감안할 때 급격한 방향선회보다는 대화 가능성을 열어두는 신중한 접근을 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최정호 기자/choijh@heraldcorp.com